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약으로 성조숙증 치료를 시작하다

★ 성조숙증 이야기 ★/★성조숙증 이야기

by 꿈꾸는 하이키 닥터(highki-doctor) 2021. 4. 21. 12:21

본문

성조숙증 치료 한약의 효과에 대한 연구 - 2

 

오늘을 하이키한의원이 성조숙증 치료를 하게 된 배경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벌써 20년도 넘은 일들이라, 기억은 가물가물 하지만, 생각나는 데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요즘이야 성조숙증이 너무 만연해서 다들 요즘애들은 사춘기가 빨리 시작하는가 보다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성조숙증이 뭔지, 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는 게 뭐가 문제인지 전혀 모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1990년대 우연히 보게 된 티브이 다큐 프로에서 "외국의 성조숙증 아이들"에 대한 내용이 방송이 된 적이 있습니다. 여러 편이 방송된 걸로 기억하는데, 사춘기가 빨라지는 게 병일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방송 내용은 환경호르몬(environmental hormone)이라 불리는, 정확히 표현하자면 내분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s)로 인하여 사춘기가 빨리 시작이 되는 아이들과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의사들에 대한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 다큐를 보면서 충격을 받았던 것은 사춘기가 빨라지면, 평균 키 보다 10~20cm 나 키가 작은 어른이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성조숙증 다큐를 볼 때만 해도, 성조숙증은 남의 나라 이야기였고, 특별히 내가 성조숙증 치료를 위해 뭔가를 해야 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당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평균키가 일본 청소년을 따라잡고 있었습니다. 키와 외모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었고, 큰 키에 대한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기 시작하던 때였습니다. 지금의 성인 평균 키(고등학교 3학년 평균 키와 비슷합니다)가 173~4cm가 된 때가 1990년대 말부터였습니다. 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평균 키가 커지다 보니, 성장클리닉이 붐이 일어난 시기 이기도 했습니다. 당시만 해도 성장클리닉 하면 당연히 성장호르몬 주사를 맞는 걸로 여기던 때였습니다. 당시에 성장호르몬 요법이 유행하는 만큼 부작용에 대한 논란도 많았던 시기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아마도 그쯤부터 한약으로 키를 더 크게 해 줄 수는 없을까를 고민하기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 당시에는 많은 아이들이 건강을 위해, 질병 예방을 위해 계절별로 보약을 챙겨 먹었습니다. 주기적으로 보약을 먹었던 아이들은 건강하게 쑥쑥 자라는 게 눈에 보였습니다. 어쩌면 한약이 성장호르몬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이어졌고, 본격적으로 성장클리닉을 위한 준비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 말에 본격적으로 한약을 이용해서 성장치료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한약으로 키를 더 크게 해줄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제일 먼저 한 일은 전해 내려오는 많은 한의학 서적에서 실마리가 될 만한 내용들을 찾아보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당시에 임상연구나 동물실험으로 등으로 유효성인 조금이라도 확인된 논문과 외국의 사례들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던 중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록된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이라는 처방에서 실마리를 찾았습니다.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은 오지(五遲), 오연(五軟)을 치료하던 처방이었는데, 허약하여 잘 자라지 않는 아이들에게 처방된 한약 처방이었습니다. 이 녹용사근환을 기반으로 하여, 그동안 연구된 내용과 한의학적 이론에 바탕을 둔 특별한 처방을 하나 만들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KI-180 이라는 '키 성장 촉진' 특허를 받은 한약 조성물이었습니다. 이렇게 특별히 조성된 한약이지만 임상적인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확인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 실험을 여러 번 수행했습니다. 그중에는 논문으로 발표된 것도 있지만, 발표하지 않은 연구도 여러 번 있었습니다.

 

이런 지난한 과정을 거쳐 키를 더 잘 클 수 있게 해주는 한약 처방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한약은 성장호르몬과 유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많은 실험을 통해 확인을 하였으며, 특히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 때부터 성장호르몬 요법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키 크는 한약을 기반으로 한의계에 가장 진보적인 성장클리닉을 시작하였습니다. 키가 크는 한약인 "성장탕"은 전통적인 한의학 서적에는 기록이 없지만, "성장탕"이 탄생하게 된 배경에는 한의학적 이론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실험과 도전으로 시작된 성장클리닉을 통해 키가 작은 아이들, 작지는 않지만 더 많이 크고 싶은 아이들, 운동 선수 등등 많은 아이들을 치료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중, 특이한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작은 키인데 키 성장이 멈춘 것 같다고 하는 아이들이 눈에 띄게 많았던 것입니다. 그중에는 초등학교 6학년 여자 아이도 있었고, 중학교 1학년 남자아이도 있었습니다. 이 아이들의 공통점은 성장판이 빨리 닫혀가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성장판은 보통 여자아이는 중학교 2~3학년에, 남자아이는 고등학교 2~3학년에 닫힌다고 교과서에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빨리 성장판이 닫히고 있는 현상에 대해 좀 더 확인을 해야 했습니다. 그 아이들은 또래보다 작지 않은 상태였습니다만, 성장판이 닫히면서 키가 더 이상 크지 않는다면, 어른이 되었을 때 평균 키보다 10cm 이상 작아질 것으로 예상이 되었습니다.  

 

성장판은 사춘기 발달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사춘기 발달이 시작되면서 성장판은 닫히기 시작합니다. 성장판이 닫히는 과정에서 급성장이 진행되지만, 급성장이 진행되는 2~3년 사이에 성장판은 서서히 닫히게 되면서 성장이 멈추게 됩니다. 그리고 사춘기는 성호르몬의 분비가 시작이 되면서 나타납니다. 또한 성호르몬 분비가 시작이 되면서 성장판도 닫히는 변화가 시작됩니다. 초등학교 6학년 여자아이, 중학교 1학년 남자아이의 성장판이 닫혔다는 건, 급성장이 이미 진행되 었었다는 것이고, 그만큼 빠르게 성호르몬의 분비가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볼 수 있었습니다. 보통 여자아이의 경우 초등학교 4학년 이후, 남자아이의 경우 초등학교 6학년 이후에 성호르몬이 분비가 되고, 사춘기와 급성장기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춘기가 또래보다 빠르게 나타나는 현상인 성조숙증이 키 성장에 중요한 장애 요소가 되고 있었던 것을 알게 되기까지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몇 년 전에 티비에서 보았던 바로 그 질환, 성조숙증이 어느새 나의 주변에, 우리의 주변에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성조숙증은 벌써 오래전부터 우리 주변에 있었던 질병이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도 어릴 적 친구들을 생각해보면, 1970년대에, 초등학교 6학년 친구들 중에 여드름이나 변성기 같은 사춘기 증후가 이미 많이 진행되고 있었던 남자 친구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당시에는 부모들은 자식들이 또래보다 조숙해지길 바라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2000년대 초에, 성장클리닉을 시작하면서 성조숙증이라는 질병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성인이 되었을 때, 작은 키가 예상이 되는 질환, 과거에도 있었지만, 특별히 관심을 두고 있지 않았던 사춘기가 빨라지는 현상, 바로 성조숙증에 대한 관심이 생기기 시작한 계기가 된 것입니다. 참고로 하이키한의원에서 성조숙증 치료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4년 1년 동안 성조숙증 치료를 받은 소아청소년은 3000명이 되지 않습니다. 당시에는 성조숙증은 사회적으로도 관심이 없었던 질병 중 하나였습니다. 또한 부모님들도 성조숙증을, 사춘기 발달이 빠른 현상을 치료해 줘야 한다는 생각을 미쳐 하지 못하고 있었던 때였습니다.  그래서 하이키한의원이 적극적으로 "성조숙증은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라는 캠페인을 하게 된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하이키한의원이 성조숙증 치료를 시작하게 된 이유는 성조숙증이 키 성장을 방해하는 중요한 원인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성조숙증의 문제는 키 성장 뿐만 아니라 정서적 문제나 건강상 문제가 따라다닙니다. 따라서 성조숙증 치료는 정서적 문제와 건강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키 성장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성조숙증 치료를 위해, 성조숙증의 원인과 발병 기전 등을 공부하고, 관련 연구 논문들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한약으로도 성조숙증 치료가 가능한가 여부를 확인해봐야 했습니다. 성장클리닉을 준비할 때와 비슷하게 과거의 한의학 서적과 최신 연구 보고서와 논문들 속에서 성조숙증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가 있는지를 찾아봤습니다.

 

성조숙증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성선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이 또래보다 2년 이상 빨리 분비되는 질환입니다. 당연히 치료법도 이 성호르몬의 분비를 어덯게 억제하느냐가 관건이 되는 것입니다. 양방에서는 성조숙증 치료를 위해 GnRHa(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라는 성선자극호르몬을 억제하는 약물을 이용합니다. 이 약은 뇌하수체의 성선자극호르몬 분비를 억제하여 사춘기 발달을 중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성조숙증의 원인을 분석하면서 성조숙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한약도 성호르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그래서 성호르몬과 연관이 있을 것 같은 한약 처방과 이론들에 대해 연구를 했고, 동의보감에 수록된 한약 처방 중에도 많은 처방이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효과와 관련된 것으로 확인을 하였습니다. 현재 성호르몬 분비 억제를 위해 처방되는 조경(EIF, Estrogen Inhibition Formula) 한약 처방은 이런 연구 과정에서 개발된 것이었습니다. 지금은 조경(EIF), 조경2(hEIF) 두 가지 성호르몬 억제 한약 처방이 있습니다. 이 조경 처방은 성조숙증 치료 효과에 대하여 국내 특허는 물론, 미국, 중국, 대만 등에서도 특허 등록이 되었습니다.

 

성조숙증이 성호르몬의 분비가 또래보다 2년 이상 빠르게 시작했기 때문에, 이 호르몬 억제제를 주사하면 성호르몬 분비가 중단되어 사춘기 발달을 2년 늦출 수가 있습니다. 다만, 이 호르몬 요법을 시작하게 되면 키 성장이 둔화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이키한의원은 성조숙증 치료에 대한 준비를 하면서, 성조숙증을 치료하는 어떤 약물이든 사춘기 발달은 늦추지만, 키 성장에는 방해를 주면 안 된다는 생각을 처음부터 하고 있었습니다. 성조숙증 치료가 최종적으로는 키 성장을 위한 것인데, 성조숙증 치료 때문에 키가 더 안 컸다면, 굳이 성조숙증 치료를 할 이유가 사라지게 되는 거로 생각을 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